이번주 18권은 완독 못할 줄 알았습니다.
핑계일수 있지만 이번주는 이래저래 병원 예약과 약속이 줄지어 있어서 시간이 좀 팍팍했거든요.
하지만 다행히 주말 새벽 시간 이른 기상으로 겨우 끝마칠수 있었습니다.
사실 억지로 읽지 않으려 했었습니다. 얼마 남지않은 토지를 그렇게 읽고 싶지않아서요.
이제 딱 두권이 남았네요. 긴 독서였습니다. 앞으로 이런 시간이 또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함께하니 가능한 일이라 말할 수 있을거 같네요. 그래서 이 책을 마치고 나면 특별한 감정이 들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지난주는 친구들과의 약속이 있었습니다.
날이 좋아 완연한 봄기운을 흠뻑 느낄수 있었던 날이었습니다. 비록 미세먼지가 있어 마스크를 맘껏 벗기는 어려웠지만 햇살이 따뜻해서 좋았고 식사후 잠깐 산책으로 봄기운도 한껏 느낄수 있어 행복했습니다.
행복하다고 느낄때 내게 남은 인연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나의 행복에는 나의 인연도 포함되었다 생각이 드니까요.
지금 내게 있는 인연들은 편안한 사람들만 있습니다.
아이들이 학교를 다닐때는 불편하지만 만나야하는 모임들이 있었습니다. 물론 그것도 핑계일수 있죠. 내가 만나지 않으면 그만이니까요. 하지만 그때는 뭐가 그리 불안했는지 모임들을 거부할 수 없었습니다.
지나고 보니 그 당시의 불안함을 탕진해준 효과는 있었드랬습니다. 그래서 후회는 아닙니다.
다만 계속 이어갈 인연은 아니었다는 말이죠.
그런 인연도 있는거겠죠.
나이가 들면서 만남과 인연에 대한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내 시간이 소중한 만큼 소중한 인연들로 내 시간을 채우고 싶다는 생각이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책 얘기로 돌아와서...
홍이와 보연의 집에 형사 둘이 들이 닥칩니다.
보연이 사 모은 보석이 빌미가 되어 부부가 밀수혐의로 조선으로 압송됩니다.
그 전에 이 집에 얹혀살고 있던 임이가 그것들을 몰래 꺼내본 적이 있는데 그것이 발단이 된것이 아닌가 의심스러운 상황이었지만 사실여부는 모르지만 그일로 상근 상조(홍이 아이들)는 임이를 더욱 미워하게 됩니다.
그렇게 엄마 아빠가 잡혀간 상황에서 홍이가 운영하는 공장에서 일하는 천일이네 호야네가 와서 아이들을 보살핍니다. 몇일 있다 찾아온 보연의 오빠 삼화까지.. 순식간에 이 문제를 걱정하는 가족이 늘어납니다.
이는 홍이가 살아온 세월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체포 소식을 듣고 멀리서 송장환이 찾아오고 영호와 한복이 물심양면으로 그들의 석방을 돕습니다.
그들이 잡혀가고 두세달이 지나 홍이는 풀려났지만 보연은 재판을 받게 될거라는 소문이 돌았습니다.
홍이의 소식을 듣고 찾아와 도움을 주려는 사람들.
또 영광의 아버지 송관수가 죽고 홍이를 비롯해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뭉클해지는 건 그들의 마음이 지금은 흔히 볼수 있는 마음이 아니기 때문일겁니다.
제가 요즘 즐겨 보고 있는 '폭삭 속았수다'라는 드라마가 있어요.
1960년대를 배경으로 어촌마을에 사는 어느 한 여자아이의 일생을 그리는 이야기입니다.
억척스런 해녀인 엄마지만 동료 해녀들의 동료애는 무척 특별해 보입니다.
제주라는 특성상 한 동네 사람이라는 울타리는 그 어느 가족보다 탄탄해 보입니다.
마치 내 가족 일을 보듯 서로를 아끼고 생각해주는 모습은 지금은 찾아보기 어려운 감동이 있습니다.
토지를 읽으면서 느꼈던 정을 떠올리게 만드는 드라마여서 혹 안보셨다면 추천하고싶은 드라마입니다.
그렇게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홍이가 먼저 풀려납니다. 홍이는 보연이 풀려나면 그들의 위한 집을 마련하고 자신은 다시 간도로 돌아갈 계획을 세웁니다. 딱히 그곳에 꼭 가야할 이유보다 조선에 남을 이유가 더 희미했기 때문입니다. 그당시 생각이 있는 남자들의 마음은 비슷했던거 같습니다.
사실 지식인들은 뭔가를 하지 않으면 자책을 하게 되는 분위기였습니다.
명희의 오빠, 명빈도 적극적으로 일본에 대적하지 못하는 스스로를 자책하며 괴로워합니다. 병이 들어 누워있는 자신이 독립운동으로 싸우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면 너무 보잘것없는 존재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저는 그런 자책도 요즘 같은 세상에서는 귀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명빈이 훌륭하다고는 말할수 없지만 그런 생각조차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 요즘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에서 또하나의 이슈는 유인실과 오가타의 이야기입니다.
동경 일본여대에서 공부한 신여성이나 독립에 대한 열망으로 만주로 건너간 유인실.
그에 앞서 사랑한 남자 일본인 오가타의 아이를 갖게 되고.. 그 사실을 오가타에게 숨기고 결국 그아이는 조찬하가 대신 키우게 되는데 우연히 중국의 어느 약국에서 일하고 있는 유인실을 조찬하가 만나면서 오가타로 연결되는 상황이 이어집니다. 결국 오가타는 유인실을 만나 자신의 아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충격에 빠진 오가타에게 유인실은 이런말을 남깁니다.
"일본이 망할 때까지, 그때까지 살아 있다면 우리는 다시 만날 수 있을 거예요. 당신을 잊지 않겠어요."
한 여자로서의 삶을 포기하고 조국의 현실에 몸 바치는 투사로 살아가기를 택한 여자. 유인실.
사랑하는 남자와 그의 아이를 포기하고 새로이 태어나려 몸부림쳤던 여자. 유인실.
적국의 남자를 사랑하고 그의 아이를 낳은 자신을 부정하고 괴로워서 죽고자 했던 여자.
시대가 낳은 아픔이었습니다.
부디 독립을 이루고 오가타와 유인실이 사랑을 이루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간절히 하게 됩니다.
서희가 키우고 있는 양현의 고뇌도 공감이 가는 부분이었습니다.
큰 오빠의 아내 덕희의 눈에 양현은 불편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집안의 핏줄도 아니고 기생의 딸이 이 집안에서 대접을 받고 있는 상황이 큰 며느리 덕희 입장에서 보면 못마땅하게 생각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누구나 각자의 입장이 있습니다. 처음엔 덕희의 행태가 못마땅했지만 그 입장에서보면 또 그럴수 있겠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애매한 양현의 위치는 결국 그의 불우한 출생 탓이고 보면 그의 처지를 탓할수 밖에 없겠다 싶었습니다.
읽을때는 많은 이야기가 머리게 샘솟지만 막상 쓰려고 보면 다 기억나지 않으니 그래서 후기가 어렵나봅니다.
이제 얼마 남지 않은 나머지 책을 읽으면서 어떤 감정이 들지 스스로도 궁금합니다.
즐기면서 남은 여정을 이어가려 합니다. ㅎ
딸기님 어느듯 토지를 2권만 남겨두셨네요.
한권한권 다 소중한 책 인듯 합니다.
긴 줄거리에 많은 인물과 서사가 있지만
한결 같이 사람의 따뜻한 심성과 정이 느껴지고
또 그와 대비되는
현실에서 살아 남기위한 악독한 사람들을 보며
우리는 어떠한 마음으로 살아야 할까를 늘
생각하게 해 주는 소설인것 같습니다.
요즘 넷플릭스에서 하는 '폭삭 속았수다' 드라마.
저도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우리 부모님 세대의 이야기부터 우리 세대의
이야기까지 전개되는 드라마라서
너무 공감도 되고
그 옛날 남아선호 사상이 만든 집안
분위기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의 소신을 펼치며
살아가는 애순과 딸 금명이를 보며
나도 좀 더 자신감 있게 살고,
내가 생각한 것들을 다 말하며 살껄...
이런 생각도 잠시하며 보게 됩니다.
토지와 드리마 이야기 까지 함께 나눴네요.^^
토지 남은 두권도 다 잘 마무리 하시고
모두 완독후의 딸기님의 느낌도 어떠할지
기대됩니다.
저는 아직 8권 완독상태라 반이상이 남았지만,
아직 읽을 부분이 많다는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토지를 읽는 시간들 중에는
마음이 평온한 순간들이 가끔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