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8권에서는 결혼한 길상의 고뇌가
엿보입니다.
서희는 어느듯 환국과 윤국 두아이를 낳고
유모 젖이 아닌 자신의 젖을 직접 먹이며
세상에서 유일한 자기의 피붙이를 아끼며
키우고 있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돌아갈 고향에서
예전 자신의 땅을 되찾고자 하는 바램으로
간도에서는 친일노릇까지 해 가며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지의 부인을 보는 길상은
고국에 돌아갈 이유도 갚아야 할 원수도
없이 마냥 마음의 방황만을 합니다.
주위에 독립운동가들을 보면서도
자신은 왜 조국을 사랑하는 마음이 안생길까
이런 생각 마저도 하게 됩니다.
길상의 성장과정은 부모도 없이 홀로
외로이 자랐고 그 극진한 사랑을 받지못했기에
다른 이들이(서희같은 이) 갖고 있는
당찬 삶의 의지를 가지지 못하고 마음의
공허함만을 항상 확인합니다.
지금은 아내도 자식도 있는 가장이지만
마음 깊숙한 곳에 뻥뚤린 자괴감이 해소되지
않고 계속 지속됩니다.
사람은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이시점에 생각나는 의문입니다.
톨스토이는 사랑으로서 살아간다고 했지요.
그 사랑은 어떤 사랑일까?
길상은 사랑하는 아내도 아들도 있는데...
사람이 처음 태어나서 받는 부모로 부터
받는 사랑이 이렇게 한 인간의 인생 전반에
걸쳐서 큰 영향을 주는 사랑인것입니다.
부모가 큰 사랑을 주지 않고 살았어도
부모 없이 크는것 보다는 부모가 있는것이
마음속 부모상을 그리며 살아갈 수 있기에...
제 역할을 잘 하든 못하든 부모는 존재로서도
큰 역할을 하는듯 합니다.
저는 부모 역할을 못하고 자식을 힘들게만
하는 부모라면 차라리 없는게 낫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해 본적도 있었는데,
사실은 미운정도 정이라고, 없는것 보다는
나은 것이구나 깨닫게 되네요.
월선이 암으로 얼마 못살게 되어
홍이가 무척 슬퍼합니다.
오히려 친엄마인 임이네 보다 더 큰
모정을 주는 월선이 홍이에게는 진정한
엄마라고 생각됩니다.
엄마라는 자리는 자식을 낳은정 보다
기른 정이 더 큰것이라고 느끼게 해 줍니다.
임이네와 월선.
두 인물을 볼때 사람은 타고나는
성정에 따라서 사는것 같습니다.
엄마로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는 사람과
아닌 사람으로 갈리는듯 합니다.
얼마전에 네플릭스에서 본 영화
'칠드런스 트레인'이 생각납니다.
이 영화는 1940년대 후반
세계 2차 대전이 끝날 무렵
가난하고 궁핍한 이탈리아 나폴리를
배경으로 한 영화인데,
가난과 굶주림에 어린아이들을
북부 위탁 가정으로 보내는 이야기입니다.
여기에 주인공의 엄마는 북부 위탁가정의
엄마보다 엄마로서의 역할을 훨씬 못합니다.
모진 현실이 어렵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런 현실 보다는 마음의 사랑을 전하는
결이 다르다고 생각됩니다.
아이는 두 가지 형태의 모성애를 보고
많은 감정의 혼란을 겪습니다.
월선이 꼭 위탁 가정의 엄마 같고
임이네가 이 영화의 친 엄마 같다고 느껴집니다.
물론 이 영화의 친 엄마가 임이네 보다는 훨씬
더 모정이 많긴 하지만요.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기에
실제 이런 부모들도 많았을거 같습니다.
최근에 개인적으로 책을 집중해서
읽기가 어려워서
이번 8권은 다 읽지 못하고
반정도 읽고 후기를 씁니다.
남은 분량은 다음에 읽으면
천천히 후기 올리겠습니다.
글여행님, 후기 글 잘 읽었습니다^^
댓글이 조금 늦었더니, 아들 입대 내용까지 함께 보게 되네요!
저는 아직 멀었지만, 글을 읽는 것 만으로 울컥하는데 나중에 큰일이다 싶습니다.
해군이라니👍 저희 아들도 이렇게 듬직하게 자라야 될 텐데..
한 아이를 그 만큼 올바르게 성장 시키는 일은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어제도 신랑이랑 몇 시간 동안 사춘기가 다가올 아들을 대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는데..
그 어려운 과정을 다 거쳐 훌륭하게 키워내신 것만 보아도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드님의 그 마음가짐이라면 분명히 잘 해내고 있을 거라는 확신이 드네요^^
이번 글에서는 부모님의 사랑에 대해 써주신 것 같아요.
사람은 사랑으로 살아간다는 말이 맞다는 생각입니다.
어린 시절 받았던 사랑이 토대가 되어 자신만의 사랑받는, 사랑하는 법을 터득해 나가는 게 아닐까요?
금쪽이 방송을 보면서 아이의 잘못은 부모로부터 비롯됨을 느꼈습니다.
사랑의 대물림(?)이라고 보면 될까요? 기른 정이든 낳은 정이든 그 아이가 얼마나 진실된 사랑을 받는지가 원동력이 되어
앞으로의 자신의 삶 안에서 누구가에게는 사랑을 주고, 누군가에게서 사랑을 받으며 살아가는 것 같아요.
한 부모 가정의 경우 부모 한쪽의 결핍이 있을 순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륭히 자라는 아이들도 있죠.
그 빈자리를 채워주는 사랑이 크다면 받은 상처를 스스로 이겨내고 받아드릴 줄 아는 마음의 힘이 생기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반면에 부모가 다 있어도 진정한 사랑이 바탕이 되지 않는다면 아이의 성장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수많은 가정 환경이 바탕이 되고 여러 종류의 사랑을 밑거름으로 다양한 존재의 사람으로 성장하는 게 아닐까 합니다.
글여행님의 글을 읽고 생각이 많아지는 시간이었습니다.
부모로서 올바른 길을 걷고 있는지 되돌아보게 되었네요^^